거꾸로 읽어도, 제대로 읽어도, 같은 값을 보여주는 값들을 팰린드롬이라고 부릅니다. 

 

간단한 코드를 통해 Palindrome 이 아닌지 맞는지 확인해보는걸 만들 수가 있습니다

 

방법 1. 

def is_palindrome(word):
    # 여기에 코드를 작성하세요
    reversed_word = word[::-1]  # 단어를 뒤집음
    if word == reversed_word: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테스트 코드
print(is_palindrome("racecar"))
print(is_palindrome("stars"))
print(is_palindrome("토마토"))
print(is_palindrome("kayak"))
print(is_palindrome("hello"))

 

방법 2(코드 잇 풀이) 

def is_palindrome(word):
    for left in range(len(word) // 2):
        # 한 쌍이라도 일치하지 않으면 바로 False를 리턴하고 함수를 끝냄
        right = len(word) - left - 1
        if word[left] != word[right]:
            return False

    # for문에서 나왔다면 모든 쌍이 일치
    return True


# 테스트 코드
print(is_palindrome("racecar"))
print(is_palindrome("stars"))
print(is_palindrome("토마토"))
print(is_palindrome("kayak"))
print(is_palindrome("hello"))

 

코드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각자만의 풀이 방법이 있을 뿐이에요.

어떤 방법이던 본인의 정답을 사랑해주시길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이 어학병의 업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학병 소속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

이러한 사정을 이해해 달라.


군에서는 때론 어떤 일화 때문에 사람들에게 별명이 생기고는 한다. 이 이야기는 나의 사무실 별명 "욘두"를 이야기하고 싶다. 이는 군 생활도중에,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시기를 말하고 싶다. 한창 코로나가 끝나가는 2022년의 중순의 기억이었다. 나와 함께 14년을 함께하던 강아지도 유명을 달리했었고,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 나와 연락을 곧 잘하던 친구의 자살 소식에 그리고 5년 동안 울고 웃었던 친구관계도 무너지고 있었을 때.

 

내가 군 생활을 잘하고 있는 것 그 자체로써도 기적이었다.  

 

내가 힘든 모습을 보여 줄 수 없는, 그런 표정을 짓고 있다고는 생각을 하고 있지만 이미 내 주변이 들은 나의 변화를 쉽게 알아차렸었다. 왜냐하면, 거의 하루종일 입에 담배만 물고 있었으니까. 그런 사정을 아는 건지 모르는 건지, 본부대장은 나에게

정신과 상담을 하면 어떻겠냐 하는 이야기도 오갔었고,

행보관님도 작업이든 뭐든 군대에 미련이 없는 나의 모습을 이해하는 듯하였다. 

 

세상이 싫었다. 아니 군이라는 공간 자체가 싫었다. 그리고 이 울분을 외칠 대상도 없었다.

정신과 상담을 요청해주신것은 감사하지만,
다른 이들도 자기만의 사정속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런 요청은 없는 것으로 부탁드리겠습니다.

하고 머리를 숙이고도 온전치 않은 정신으로 하루하루 군 생활을 하고 있었었고, 내 이야기를 들어줄, 아니 말할 대상도 없었다. 이런 이야기를 내 가족에게 한다면, 그들의 입장에선 걱정이라는 짐을 더 늘릴 뿐이니까.  그런 마음을 "서부전선 이상 없다"라는 이야기로 한없이 위로의 말을 하고 있을 때였다.  내 머릿속에 강한 충격을 주고 싶었다. 아니 물리적인 충격이라기보다는 강한 변화를 향한 욕구가 있었다. 

 

이왕 이렇게 된거, 머리를 해병대 컷으로 잘라보자 

 

이발병에게 부탁했다, 그냥 미친척하고 머리를 잘라달라고, 이 심경의 변화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더 큰 변화를 줌으로써 변화를 원했다. 어차피 군인에게 있어 한없이 멋 부린다는 생각은 하지도 않았으니까. 중요한 건 당장의 무너질 것 같은 마음을 통제할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니 해병대 머리로 했다. 가장 엉뚱하고, 어색하고, 그리고 멍청해 보이는 나의 모습을 보면서 웃음을 지을 필요가 있었던 것. 그리고 규정상에 없는 일이다. 짧은 머리를 하라고 하였지, 어떠한 스타일로 짧은 머리로 하라고 하는 언급은 없었으니 말이다. 

 

그렇게 해병대 머리로 자르고 사무실에 갔었을 때, 얼마 지나지 않아 나의 별명은 "욘두"가 되어있었다. 싫지만은 않았다. 오히려 그러한 것을 의도했었기 때문에, 모든 것이 내 의도대로 돌아가는 상황이 펼쳐져있었다는 것이 내 마음속에 안심을 가져다주었다.

 

눈물을 흘릴 거면 보이지 않은 곳에서 해라, 하는 말을 지키기 위해 화장실에서 몰래 눈물을 훔치고는 했었지만, 그때만큼은 기억이 난다. 말을 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이, 아니 그 누구라도 좋으니까 이 소리 없는 울분을 누군가 들어주었으면 하는 감정으로 했던 변화. 

 

다른 이들은 그냥 좀 이상한 형이고 엉뚱한 형이라고 하겠지만, 나를 통해 웃음을 지을 수 있는 아이들이 있다면야 그만큼 위로가 되는 경우가 없었으니까. 덕분에 내가 전입왔을때 분위기하고 전역할 때의 분위기하고의 군대는 충분히 달라져있었다.

지금은? 

 

지금은 그때를 후회하기 보다는 나라는 사람을 알게 되는 좋은 계기였던 것 같다. 벼랑 끝에서 살펴보는 나의 모습이 내가 어떻게 대처하는지 알게 되는 좋은 계기였던 것 같다. 물론 지금이야 또 다른 방법으로 대처를 하는 것을 시도해 보려고 하고는 있는데, 그 시도의 결과는 역시 처음 내 방식대로 하는 것이 나은 것 같다는 생각이 남을 만큼 대 실패인 것도 있지만, 좋은 교훈이 더 많으니 상관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 

 

이러한 경험이 있어 같은 실수를 하거나 고통을 받는 이들에게 그들에게 필요한 공감을 할 수있지 않을까.

물론 이것도 합리화인 경향이 강하지만 말이다. 

 

 


 

 

 

 

 

입대전(2021년)

 

 

2023년의 모습

다시 돌아가라면 

내 동기가 있는 조건 하에 다시돌아갈래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이 어학병의 업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학병 소속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

이러한 사정을 이해해 달라.


 
애국, 자신이 사랑하는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이 단어에는 나에게 있어 두 가지를 의미했다. 1. 국가가 무엇을 하던 질문하지 않고 따르는 것. 그리고 2. 국가가 올바른 길로 가길 원하는 마음. 이었었다. 진정한 애국심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은 내 군 생활동안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 중에 사연 없고 이야기 없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생각도 하며 매번 생각에 잠기곤 하지만 나에게 있어 애국심이라는 " 내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 하더라도 따르는 "맹목적인 충성"을 말하는 것이었다.
 
이 감정에 관해 많은 역사가도 있었으며, 철학자도 있었다. 어떤 이들은 김구는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라는 말을 하기도 하였으며, 충경에서는 "국가에 이로운 일이라면 자기 한 몸을 돌보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제 와서 그렇게까지 의미는 없는 행위이기도 한 이야기 속에, "자기 자리에서 자신의 직분을 다하는 것:이 "애국"된 행위라고 귀결되어 가는 것 같다. 
 
물론 부정적인 시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역사속에서, 서로 간의 애국심으로 인해 전쟁은 매번 있었고 그로 인해 그 단어를 맹목적인 종교로 취급하는 것도 있었으니까. 그를 대변하듯이, 유명 작가 마크 트웨인은 애국자를 "자신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가장 큰 소리로 떠드는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였으니까 말이다. 
 
작금의 사건사고나 시위를 보다보면, 사람들마다 자기만의 애국이란 단어를 규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다 보면 그 말이 틀린 것 같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렇다면 나에게 있어 애국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난 아직도 대답을 곧 잘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람의 생각은 상황에 따라 달리 생각하니까. 

 
나의 어학병 생활은 그 생각을 충분히 대변했었다. 군에 입대하기 전의 내 생각은, 군대라는 공간을 "국가에 충성하는 공간" 이라고 생각했으나 일련의 사건과 일련의 일처리 과정 그리고 통역의 일을 겪게 되면서 그 생각의 근간을 흔들었었는데, 지금도 이 글을 쓰는 와중에서도 그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은 아직도 날 사로잡고 있다. 
 

Nationalism(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라고 번역되는 이 단어와 그 반대되는 Internationalism(국제주의)
흔히들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반댓말은 Individualism(개인주의)로 곧 잘 오해를 하지만은, 그 사전적 의미의 반대말은 국제주의를 거론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Individualism(개인주의)의 반대말은 Collectivism (집단, 집산주의) 일 테니

(각설하고 , 이런 전문적인 이야기는
관련 전공자나 쓰신 분이나 아니면
유관 업무를 오랫동안 진행하신 분에게 질문을 하시도록 하옵시고. )
 

 
 


 

현 충 원

顯 忠 院

 

서울 현충원

 
 

여기는 민족의 얼이 서린 곳
조국과 함께 영원히 가는 이들
해와 달이 이 언덕을 보호하리라

 
군에서 현충원을 방문하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은 2022년 봄의 어느 날이었는데, 하루하루 어떻게든 일을 빼고 싶어 하는 군인에게는 정말 좋은 기회이자 또한 사회의 공기를 맡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기회. 그리고 정말로 애국심이 투철하신 분들을 만나러 가는, 이 기회를 나쁘게 생각할 필요도 없었을 테니까. 그보다도 "민간인" 으로써 방문하는 것이 아닌 "군인" 으로써의 방문을 하는 마음이 어떠한 마음일지도 궁금했었다. 
 

현충원, 나라를 위해 싸우시던 분들이, 혹은 그에 걸맞은 역할을 하신 분들이 잠드는 장소. 
거기에는 무명용사의 묘지도 있었다.
아니 묘지라기도 그런, 무명용사들을 위한 장소. 

 

운이 좋게도 군인으로서의 나의 신분을 생각하면서, 현충원 참배를 대표로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떠오르는 기억, 2020년 경에, 전쟁기념관에 직접 방문해서 헌화를 한 적은 있었다. 당시에는 분명 어떠한 마음으로 방문해서 그 장소에 그런 기억을 두고 왔는지, 기억도 안 나지만, 그래도 감정만큼은 남았었는데. 그 민간인 당시의 헌화와 그때 당시 군인으로서의 참배는 감정이 복잡 미묘할 수밖에. 
 
이 중 몇 명이, 죽고 나서야 나라가 그대들을 챙겨주었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었고, 그리고 지금의 있는 사람들 중에 얼마나 잊힌 존재들이 있겠는가 하는 생각에 잠겨 돌아가는 도중 보이는 "월남전 참전용사" 이름도 모르고, 얼굴도 모르는 노인들이 먼저 간 전우들을 위해서 인사하러 오셨구나.
 

경례정도는 해드리자

 
내 조국의 발전과 영광을 위하여 그리고 가족을 위하여 자신의 몸을 전쟁터로 몰아넣으셨던 그런 분들이 있는 곳이면, 군복 입은 자로써 경례는 해주는 것이 올바른 일이겠지. 마음에 작은 위로의 바람결이 불었으면 하는 소망을 담아 하는 경례
그리고 그중, 나이가 좀 되어 보이시는 분이, 그 경례를 받아 주셨다. 이 마음이 전달되려는 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좋든 싫든 내가 해야 할 일이었다고 생각했으니. 참으로도 잊지 못할 하루였다. 
 

아래의 사진들은 당시의 사진들이다. 

 


2023년의 기억

 

언젠가 다시,
다시 한번
다른 모습으로
이 장소를 다시 방문하고 싶다.

그간의 일본 여행을 기록하는 편들은 이쪽에 기록되어있다

 

전역하고 후쿠오카 여행을 갔던 이야기 14편

후쿠오카 여행의 일정은 시간선이 중구난방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독자들의 주의를 권고합니다 이번 편은 "안녕, 후쿠오카" 2023년 3월 말의 이야기 이전 편들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십사

igewaedam630.tistory.com

 


 이러한 근본 없고 위아래도 없고 우당탕탕인 우여곡절속에 여행을 마무리 했으니, 그 여정의 기록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기록을 하기 위해서는, 그때 우리가 방문했던 식당의 이야기를 해야한다. 금강산도 식후경이라고 말하듯이, 이는 우리의 조상님들도 당연시 여겼던 이야기니, 후손인 우리도 그 말을 따라야 함은 당연치사. 먹는걸 잘 먹어야 구경을 잘한다
 


후쿠오카 항구 근처 초밥

하카타항 토요이치

 

» 博多豊一 | 福岡観光のレジャースポット都市と港が交わる場所|ベイサイドプレイス博多

www.baysideplace.jp

100엔~ 200엔의 가격으로 다양한 초밥을 맛볼 수 있다. 한 팩 가득 초밥을 담으면 대략 1200엔정도의 가격, 12000원의 초밥의 행복, 들어가면 어느정도 웨이팅을 할 각오는 해야한다. 그러니 전략적으로 움직이자. 점심시간이 시작되기전에 가던지 아니면 시간적 여유를 두고 움직이는게 중요하다


당시 이 정도 먹었다
항구에 걸터 앉아 먹는 초밥의 맛


후쿠오카 하카타 역 근처 야키니쿠 집 

원 갈비 프리미엄 텐진미나미즈미 

 

One Calbi PREMIUM Tenjinimaizumi  (이마이즈미/고기구이) - GURUNAVI 맛집 레스토랑 가이드

One Calbi PREMIUM Tenjinimaizumi (이마이즈미/고기구이)의 가게 정보입니다. GURUNAVI에는 상세한 메뉴 정보와 지도・쿠폰 등, One Calbi PREMIUM Tenjinimaizumi 의 정보가 가득합니다.

gurunavi.com

일본에서 "형"을 만난장소, 이름이 말해주는 프리미엄이라는 "고급진" 식당이라는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각각 칸막이 방도 있고 친절하시고 매너도 넘친다. 고기 사진이야 본편 14편참고.



후쿠오카의 다수 편의점

우리의 식당

 
 돈이 없는데 식당가서 밥을 먹겠다는 생각을 하다니,  편의점이 우리의 식당일지니. 의외로 가격대비 괜찮은 것이 많다. 아침일찍 일어나 6시나 6시 30분즈음에 출근을 준비하는 일본의 회사원들이 구매하는 것을 똑같이 구매해보면, 그들의 고충을 적잔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