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5)
-
조커 게임 감상완료
어디까지나 개인의 감상을 담고 있는 글입니다 조커 게임을 처음 감상하게 된 것은 꽤나 오래전의 일인데, 2016년 즈음에 감상을 완료했으니 이는 벌써 근 9년 전의 일이 된다. 무려 9년 전의 작품을 다시 한번 보게 되어, 이전과 다른 나의 마음가짐으로 감상하는 조커게임이 나에게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적어보는 독후감이다. 초등, 중등, 고등 과정속에서 건담을 보면서 자랐기 때문이었을까. 재래식 병기나 혹은 전략이나 전술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았었다. 이러한 성장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2차 대전의 이야기에 빠지는 것은 모든 밀리터리 덕후가 겪어온 과정 중 하나였다. 그러한 , 밀리터리와 오타쿠가 합쳐진 삶을 살아온. 단어의 조합만 들어도 몸무게가 150kg 은 넘어 보이고 군대는 정신적인 장애로 ..
2025.02.18 -
아케인 시즌 2 감상완료
이 블로그는 **League of Legends(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해본 적 없는 작성자의 시각에서 작성된 콘텐츠입니다.따라서 일부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게임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공식 자료나 경험 많은 플레이어의 조언을 참고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여는 말 아케인 시즌 1을 보았던 시기가 얼마 안 되었다고 생각이 들었었는데, 아케인 시즌 1이 세상에 빛을 본 것이 2021년이었으니, 4년 정도 된 작품이라는 것이 난 믿기지가 않는다. 시간이라는 것이 정말 야속하게도. 나이가 먹으면 먹을수록 빨리 흐른다고 하더니만. 정말 빠르게 흐르는 것 같다 아케인 시즌 1이 자운과 필트오버의 갈등사이에 있는 징크스와 바이의 이야기로 흘러 나간다면. 아케인 시즌 2는, ..
2025.02.02 -
Fate/Zero 감상완료
여는 말 Fate/Zero를 처음 감상하게 된 것은 2012년이었다. 당시 한창 마인 크래프트에 빠져있었던 나에게, 인터넷 커뮤니티의 카톡방(혹은 Skype)은 지금의 Discord의 입지를 갖고 있었다. 마인크래프트 커뮤니티는 다양한 삶의 배경을 가진 친구들이 모이는 곳이었고, 이는 중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나의 십덕 십덕 생활을 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었다. 그때 당시(2011년) 카톡방에는 오픈챗방이라는 기능도 없었고, 카톡을 통한 친목질보다는 당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친목질은 Skype를 통해 이뤄졌었다. 인터넷 커뮤니티가 각자의 본진이 어디냐에 따라 성향과 성격도 매우 다르기도 했었고 애니메이션을 보는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도 심히 있었지만은 각자가 서로의 바보 같음을 이해하고 인정..
2025.01.02 -
RED LINE 감상평
RED LINE 의 트레일러 여는 말 RED LINE을 보게 된 것은, 나의 내면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서 다른 사람의 마음에도 맞춰보려고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았다. 어디까지나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살아온 나의 과거를 접어두고,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을 즐겨보자는 것으로 "역지사지( 易地思之 )"의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배우는 것도 유학 생활의 가장 중요한 배움의 일환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랴. 이 작품이, "2010년( 작성시기로부터 14년 전)" 작품이라는 것도 있다. 지금 당시의 감성으로, 과거를 이해하려는 마음이기도 하면서, 마음의 한 구석에는 , 지금의 현실을 부정하고 과거(순수한 마음을 가진시절 )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마음이 없지 않아 있나 하는 생각도 든다. 나에게 ..
2024.11.09 -
건담 SEED 감상 완료
여는 말 건담 SEED를 처음 본 것은, 어렸을 적의 일이다. 바쁜 학원의 일정을 마무리하고 나면 집에 도착하면 10시나 11시쯤 되었는데. 그때 할머니 방에서 브라운관 TV로 본 건담 SEED의 기억을 아직까지 잊지 못한다. 삼삼오오 TV 앞에 모여서 건담을 보고, 가족과 이야기하고, 건담 프라모델을 사달라고 부모님에게 졸랐던 기억은 아직도 있다. 첫 건담 프라모델(블리츠 건담) 을 반던 그 설레는 마음은 아직도 기억을 한다. 물론 그때는 몰랐었다. 건담 시드가 담고있는 심오한 이야기가 어떻고, 인간관계가 어떻고, 이 작품이 누구를 위해 만들어졌고 어떠한 의미로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는지. 요즈음에는, 유투브나 다른 블로그나 지식의 보고 (나무위키)를 통해 어떠한 설정을 가지게 되었고 어떠한 이야기를..
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