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이 어학병의 업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학병 소속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

이러한 사정을 이해해 달라.


여는 말

 어학병 생활도중에 배운 영어 단어들을 공유할까 생각을 했었다. 이는 미래에 기여하고 싶은 훌륭한 국군장병을 위함이요, 학생들을 위함이랬다. 하나, 이 정보를 공유하는 것 자체가 "보안"을 어기는 일이라 생각해. 어학병 단어집을 공개적으로 공유하거나 혹은 내 사적인 이득을 위해 정보를 공유할 수는 없는 일이랬다. 

 

허나, 관련 공부를 하는 학생들이나 병사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은 변치 않아.

미 국방성에서 공개적으로 공개한 단어집을 공유한다.

 

DOD Logo

실제로도 군에 들어가게 되면, 

여기에 나오는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으니 

업무와 미래를 향한 발걸음에 참고 바라는 마음이다.

 

 

 

 

 


결어

 

자료 링크 ::

 

DOD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March 2017

 

DoD Terminology Program

 

 

<<글을 작성하고 나서 깨달았는데, 의외로 영어 자료들이 인터넷에 많이 돌아 다닌다.

어디까지 공개가 가능한지, 그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면 좋겠다 하는 마음이다. >>

2021년에 입대하고 2023년에 전역을 했다. 이제 와서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최근에 아는 동생들이 군에 가니까 준

비물을 물어봤기에 내가 제공 가능한 정보를 추려 공유를 했었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으니까 내 블로그에 공유하고자 한다. 

 


여러모로 뒤 숭숭한 소문이 돌고있고, 심지어 안좋은 소식이 들리고있는 이 난세의 시대에 당신의 군번이 여름군번이라면, 그에 걸맞는 준비물을 챙겨가는게 중요하게 여겨질 것이니.

 

    훈련소에 입대하는 대다수의 장병들은 20대 초반이고, 게다가 잘 해봐야 자신의 신분을 증명하는 것은 고등학교 졸업장 뿐이니, 세상이 그렇게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을 배우기 전이기 때문에, 이들을 노리는 것은, 국가를 위한 숭고한 희생을 치루는 우리의 미래의 장병들에게 "자랑스럽다" 한마디 하는 것보다. 그저 이들을 돈으로 보는 자들의 습격일테니, 그들의 습격에 앞서서 이 안내서를 작성하였다.

2021년 기준 군대 안내서.pdf
0.42MB

 

우선, 병무청에서 제공하는 안내서는 이렇게 말해주고 있다

군 생활에 필요한 물품은 입영부대에서 제공한다

군 생활에 필요한 물품은 입영부대에서 제공합니다

 

 

다시한번 쉽게 말하면 

 

부대 앞에서 판매하는 것들좀 사지 마세요.
우린 분명 말했음.

 

틀린말은 아니긴한데, 그래도 워낙 훈련생활이 고되기도 하고, PX 를 갈 수 있는 시간이 입대후 2주차에 들어가고 나서 오기 때문에 그 2주간의 고통을 줄여주고자 하는 포스팅. 

 

이하 군필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군필자 (나), 군필(진) 의 대화로 마무리 하겠다


 

 

 

 

작은 공병에 페브리지 담아가기 

 

그 발상이 천재적이라 감탄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이 어학병의 업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학병 소속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

이러한 사정을 이해해 달라.


 
애국, 자신이 사랑하는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 이 단어에는 나에게 있어 두 가지를 의미했다. 1. 국가가 무엇을 하던 질문하지 않고 따르는 것. 그리고 2. 국가가 올바른 길로 가길 원하는 마음. 이었었다. 진정한 애국심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은 내 군 생활동안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곳에 모인 사람들 중에 사연 없고 이야기 없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생각도 하며 매번 생각에 잠기곤 하지만 나에게 있어 애국심이라는 " 내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다" 하더라도 따르는 "맹목적인 충성"을 말하는 것이었다.
 
이 감정에 관해 많은 역사가도 있었으며, 철학자도 있었다. 어떤 이들은 김구는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라는 말을 하기도 하였으며, 충경에서는 "국가에 이로운 일이라면 자기 한 몸을 돌보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제 와서 그렇게까지 의미는 없는 행위이기도 한 이야기 속에, "자기 자리에서 자신의 직분을 다하는 것:이 "애국"된 행위라고 귀결되어 가는 것 같다. 
 
물론 부정적인 시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역사속에서, 서로 간의 애국심으로 인해 전쟁은 매번 있었고 그로 인해 그 단어를 맹목적인 종교로 취급하는 것도 있었으니까. 그를 대변하듯이, 유명 작가 마크 트웨인은 애국자를 "자신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지도 못하면서 가장 큰 소리로 떠드는 사람"이라고 말하기도 하였으니까 말이다. 
 
작금의 사건사고나 시위를 보다보면, 사람들마다 자기만의 애국이란 단어를 규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다 보면 그 말이 틀린 것 같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렇다면 나에게 있어 애국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난 아직도 대답을 곧 잘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사람의 생각은 상황에 따라 달리 생각하니까. 

 
나의 어학병 생활은 그 생각을 충분히 대변했었다. 군에 입대하기 전의 내 생각은, 군대라는 공간을 "국가에 충성하는 공간" 이라고 생각했으나 일련의 사건과 일련의 일처리 과정 그리고 통역의 일을 겪게 되면서 그 생각의 근간을 흔들었었는데, 지금도 이 글을 쓰는 와중에서도 그 의미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은 아직도 날 사로잡고 있다. 
 

Nationalism(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라고 번역되는 이 단어와 그 반대되는 Internationalism(국제주의)
흔히들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반댓말은 Individualism(개인주의)로 곧 잘 오해를 하지만은, 그 사전적 의미의 반대말은 국제주의를 거론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Individualism(개인주의)의 반대말은 Collectivism (집단, 집산주의) 일 테니

(각설하고 , 이런 전문적인 이야기는
관련 전공자나 쓰신 분이나 아니면
유관 업무를 오랫동안 진행하신 분에게 질문을 하시도록 하옵시고. )
 

 
 


 

현 충 원

顯 忠 院

 

서울 현충원

 
 

여기는 민족의 얼이 서린 곳
조국과 함께 영원히 가는 이들
해와 달이 이 언덕을 보호하리라

 
군에서 현충원을 방문하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은 2022년 봄의 어느 날이었는데, 하루하루 어떻게든 일을 빼고 싶어 하는 군인에게는 정말 좋은 기회이자 또한 사회의 공기를 맡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기회. 그리고 정말로 애국심이 투철하신 분들을 만나러 가는, 이 기회를 나쁘게 생각할 필요도 없었을 테니까. 그보다도 "민간인" 으로써 방문하는 것이 아닌 "군인" 으로써의 방문을 하는 마음이 어떠한 마음일지도 궁금했었다. 
 

현충원, 나라를 위해 싸우시던 분들이, 혹은 그에 걸맞은 역할을 하신 분들이 잠드는 장소. 
거기에는 무명용사의 묘지도 있었다.
아니 묘지라기도 그런, 무명용사들을 위한 장소. 

 

운이 좋게도 군인으로서의 나의 신분을 생각하면서, 현충원 참배를 대표로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떠오르는 기억, 2020년 경에, 전쟁기념관에 직접 방문해서 헌화를 한 적은 있었다. 당시에는 분명 어떠한 마음으로 방문해서 그 장소에 그런 기억을 두고 왔는지, 기억도 안 나지만, 그래도 감정만큼은 남았었는데. 그 민간인 당시의 헌화와 그때 당시 군인으로서의 참배는 감정이 복잡 미묘할 수밖에. 
 
이 중 몇 명이, 죽고 나서야 나라가 그대들을 챙겨주었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었고, 그리고 지금의 있는 사람들 중에 얼마나 잊힌 존재들이 있겠는가 하는 생각에 잠겨 돌아가는 도중 보이는 "월남전 참전용사" 이름도 모르고, 얼굴도 모르는 노인들이 먼저 간 전우들을 위해서 인사하러 오셨구나.
 

경례정도는 해드리자

 
내 조국의 발전과 영광을 위하여 그리고 가족을 위하여 자신의 몸을 전쟁터로 몰아넣으셨던 그런 분들이 있는 곳이면, 군복 입은 자로써 경례는 해주는 것이 올바른 일이겠지. 마음에 작은 위로의 바람결이 불었으면 하는 소망을 담아 하는 경례
그리고 그중, 나이가 좀 되어 보이시는 분이, 그 경례를 받아 주셨다. 이 마음이 전달되려는 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좋든 싫든 내가 해야 할 일이었다고 생각했으니. 참으로도 잊지 못할 하루였다. 
 

아래의 사진들은 당시의 사진들이다. 

 


2023년의 기억

 

언젠가 다시,
다시 한번
다른 모습으로
이 장소를 다시 방문하고 싶다.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이 어학병의 업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어학병 소속 부대의 정확한 위치와 세부적인 편제사항, 내부 시설,
병력현황 등에 대한 모든 내용은 특수 군사 II급비밀로 분류

이러한 사정을 이해해 달라.


애국심이 없는 사람은 없다고 난 생각한다. 다만 다들 정도의 차이인 것이지 나라를 사랑하고 그 마음에 보답하고 싶은 희생정신은 한국인의 마음속 안에 뿌리 깊이 들어있다고 난 항상 그리 믿어왔다.

이 이야기는, 나의 마음을 나라에게 보답은 하였지만,

사람으로서의 역할은 하지 못했던 나의 회고록이기도 하며
아직도 그 일에 관해서 죄책감을 느낄 때가 더 많은 한없이 미안한 마음이 큰 이야기다. 
 
이야기는 나의 상병 3호봉 내지 4호봉 당시로 가야 한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은 알겠지만,

그래도 혹여나 군의 시스템에 관해서 모르는 사람을 위해 설명을 하자면
이병은 훈련소를 제외하고 자대배치 2개월이 조금 지나면 일병의 계급장을 달게 되고,
일병 6개월이 지나 상병, 그리고 상병 3호봉으로 가게 된다면 대략

군대에서 지낸 시간 1년이 조금 넘는,
어찌 보면 사람구실을 착실히 해내는,

일병이면 1인분만 해도 칭찬을 받지만 상병일 때는 1.2인분 아니

1.4인분 정도 하게 되는 그 구간이라고 말을 할 수 있는데,
 
함께한 기간이 1년이 다가가게 되는 만큼, 한없이 넘쳐나는 스트레스 속에서

일병에겐 의지할 수 있는 실세 역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구간이다.

게다가 18개월이라는 군 생활 속에서, 쌓인 휴가를 제외하고 나서는 6개월 남짓 전역까지 얼마 안 남은 상황
 
물론, 여러분들이 이해해야 할 것은 나와 나의 역할은 특직부 대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병사들끼리의 끈기와 유대감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다른 부대의 이야기보다는,


사무실에서의 상호간의 업무 이해와 효율이 올라갔었는데.
이러한 요소는 미군과의 관계도 마찬가지였었다.
비록 우리의 관계는 사무적으로 연결되었을지언정
인간으로서의 관계는 사무적 한정으로 연결되어있지는 않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서로의 보이지 않는 바운더리가 없는 것은 아니었는데 
이는 보이지 않는 긴장감을 매번 상기시켜주곤 했었다
 
비록 우리는 같은 공간에서 일하더라도,

다른 군복을 입었음에는 변함이 없었으니까
 
그리고 이번의 일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런 말이 있다.
나이가 먹을수록 친구 사귀기가 힘들어진다고
왜냐하면 서로의 바운더리를 존중하게 됨으로써 그 거리감을 굳이 구태여 좁히지 않으려고 함에 있는데
 
이 비슷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곳이 내가 일하는 곳이었다. 
난 그것이 싫지만은 않았다.
물론 상대방과 친해지고 싶은 마음은 매번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우리의 관계는 업무적 관계 
쌍무적 계약관계를 말하는 것이라면 이런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기도 하였으니깐 
 
상대방도 그 생각을 받아들이고는 있는 것 같았다
. 

개인 간의 관계를 보기 전의 양국 간의 상호호혜관계를 봐야 한다는 시야

(개인을 보기전에 국가를 봐야 한다)
참 사람이 어찌 이럴 수가 있는가. 
내가 앞에서 대화하고 있는 사람은,

사람이 아니라 그 조직을 대표하는,

아니 그 조직의 거대한 톱니바퀴 중 하나인 사람
내가 당장 이 장소에서 어떻게 접근하던,

그는 나를 동시에 사람으로 보기 전에 하나의 메신저로써 부품으로써 날 받아들이겠지.
 
우리의 임무란 본래 그런 것이니까.


 
한 가지, 마음에 남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미" 측
 
한국이라는 "타지"땅에서 오로지 가족만을 위해 이곳에 와서 일을 하고 있지만
그 사람의 이야기와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없었다
있어봐야
 
그의 직장상사
 
하지만, 직장상사에게 본인의 외로움과 감정의 힘듦을

토로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그러한 행위는 어느 나라의

사회생활 속에서 Big NoNo였으니까
 
그와 달리 한 측은 서로의 문화권으로 이해관계가 하나 되어

외로움 없는 하루를 보내고 있었던 점이 있긴 했었다
 
이제 이러한 이해와 함께 오늘의 이야기를 해보자


구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용산의 사진


난 아직도 기억한다.
미국이, 아니, "그"가 나에게 감정 섞인,

눈물 맺힌 질문으로 나에게 질문을 하였을 때
 
난 "사람"으로서의 답보다,

"조직"으로써의 답을 주었다는 것을
 
어느 날이었다, 조용했던 하루 중에 그의 사무실로 오라는 전화를 연락받은

나는 노트와 팬을 챙겨 달려갔다.
(통역병에게 노트와 팬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게 좋다, 언제 통역이 발생할지 모르니)
 
그날은 이상하게도, 누가 그의 방에 있는 것도 아니었다
그리고 이상함을 깨닫는 것은, 나중의 일이었는데,

본래 나는 한국군 소속으로써 통역을 찾는다면 한국군 간부님이 더 많이 찾는다.
 
그러나 그날은, 미국에서 먼저 나에게 연락이 온 날이었으니까
 
그리고 그 방에서 그는 의자를 하나 두고는,

나에게 앉으라는 손짓으로

"어서 와"

Come on in
sit
 
그리고 조용히 말을 이어갔다.

평소와는 다른 그의 모습

패기 넘치던 그는 온데간데없고, 지쳐가고 있는 사람의 모습이었다
 

"한국 측에서 나에 관한 평가를 알려줄 수 있겠나? 다른 것이라도 괜찮다네, 아무거라도 좋으니 "

Can you tell me what's going on about me ROK side?
Anything
 
침묵
 
조용한 침묵이 아닌
 

 
침묵
 
몇 초였을지 모르는 시간 이후에,

난 대답했다
 

Can't do that Major, I do not have any liberty to say anything unless it's an official comment.

죄송합니다 소령님, 저는 공식적인 답이 아니면 개인적인 말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눈물 맺힌 눈으로 나를 바라보며 그는 다시 나에게 말했다.

아무거 나라도 좋네

Anything, it's just any comment.
 

Sorry sir, you would understand this if you were in my shoes

유감입니다, 제 처지에 있으면 이해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그렇다, 난 그 사람의 희망을 향한 손짓을 
교육받은 대로

그러니까

나라가 나에게 위임했던 대로 단호하게 행동했다.
설령 동맹국이라고 할지라도,
타국타국, 또한 이전에
간부님이 매번 나에게 말씀해 주셨던
 
 
어디까지나 내가 공식적으로 행동할 때 네가 움직이는 거야
너는 개인적으로 행동해서는 안 되는 존재야
너의 입이 나라의 입이다 하는 막중한 책임감으로 다녀
 
그러한 배경 속에 맞닥뜨리는

이 상황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었으니까.
 
지금도 그날의 상황은
아직도 기억이 난다
 
그날이 자랑스러웠다는 생각보다는 
틀리지 않은 행동을 했다는 생각보다는
그 상황이 일어나게 된 ,

 

그에게 있어 악조건 같은 상황들이 생각이 난다
 
그의 부탁을 듣지 않은 행동 자체는 올바르긴 했었다

,
통역은 통역인 만큼,

모든 것은 그 자리에 남기고
그 상황의 평가 그 상황에 대한 이야기들은

절대 밖으로 새어 나가서는 안 되는 일들이며
그저 걸어 다니는 파파고의 임무를 완수하다 보면은
특출 난 영어 실력과 함께 전역의 아침을 맞이하면 된다.

 


나의 임무는 어디까지나 거기까지니까.
 
 
지나간 일을 신경 왜 쓰냐고 하면
일말의 책임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런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병사에게

돌아오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것은 사실이었지만, 

난 올바른 일을 했다
 

그날은 흐린 날이었고
흙냄새와 더불어 오랜 카펫의 냄새 속에서 있는
그런 담배 한 개비가 생각난다.
그것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