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무슨 일이람, 자고 일어난 사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총에 맞았다는 뉴스를 들었다. 아무래도 굉장히 미국이라는 장소에서 너무나 미국스러운 일이 발생했는데, 미국(자유주의의 땅)에서 미국다운 일("총"을 통한 "대선후보 암살 시도")이 발생했다는 것은, 충격스러운 일 아니겠는가.
심지어, 2024년,역동의 20세기가 아니라 성숙한 정치를 하고 있는 21세기에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이다; 혹자들이야, 미국 대선이 나에게 있어 무슨 영향을 끼칠 것인지, 왜 네가 그런 걸 신경 쓰고 있는지 물어볼 수도 있지만, 내가 반론할 수 있는 것은,
일단 "나" 는 지금 "호주"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입장이고(개인), 이게 개인의 일이라고 해도 한국의 종속주의에 따라, 한국의 실정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해야 하는데, 한국의 실정은 미국의 실정에 따라 계속 바뀌는 일이니까. 결국, 미국이 어떠한 성향을 띠느냐에 따라서 "나의 미래"도 어느 정도 선은 "연관"지어서 생각하는 편인데, 그렇기에 미국 대선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물론, 나는 그렇게 중요한 사람도 아니며 영향력을 펴칠수 없는 사람인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내가 얼마나 관심을 가지든 말든, 이 중요한 역사의 흐름은, 그러니까 어느 정도 "나의 인생이" 걸려있는 흐름은 "미국 국민"에게 달려있는 일이기 때문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이 없지만 말이다.
공화당(트럼프)이냐, 민주당(바이든)이냐, 지금의 흐름으로 보았을때는 이미 한쪽으로 기운 것 같기는 하다. 오늘의 일은, 오늘의 역사를 바꿀만한 "사건"은 우리가 말은 하지 않아도 누가 다음 미국의 지도자가 될 것인지 물어보지 않아도 알 것 같다.
분명 내가 군대에 있을 시절(2021~2023)에, 바이든 대통령을 육안으로 볼 수 있었을 때는 어느 정도 "정정한 모습"을 보였었던 걸로 기억을 하는데, 대선 토론에서 보인 그의 모습과 이번의 사건(트럼프 대선후보 암살시도)은 소름이 끼칠 정도로 나 스스로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역사 속의 소용돌이 속에 살아가고는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리고 나 또한 변화를 계속해서 해야 한다."
말은 이렇게 번지르르하게 하지만 내 머릿속에 계속 잠들어 있는 의문은 나에게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
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불확실성에 잡아 먹히지 말고, 내가 가야 하는 길을 천천히 생각하면서 계속해서 꾸준한 진전을 보이는 가
방학이 시작된 지 근 2개월이 지나고 있는데, 그동안 성취한 것은 그렇게 성취라고 불릴 것도 많이 없다.
방학동안 한 것을 나열해 보면
1. 이력서 완성
2. White Card와 RSA 완성
3. 전공 선택 완료 ( Enterprise Software Development)
: 아마 가장 큰 게 아닐까
4. 이사 완료
5. 일자리 알선 완료 ( 감사합니다 ^.^ 7)
일본어 공부도 차근차근하고 있고, 영어공부도 차근차근하고 있다, 독일어 공부도 놓치지 않고 해주고 있다. 언어만큼은 나의 마지노 선이라고 생각하니까. (나보다 영어를 잘하는 사람 보면, 자존심이 상한다).
결정적으로 보면은, 이렇게 적고 나면은 내가 나쁘지 않은 삶을 이룩하고 있었고 해 둔 게 없는 것 같아도 무의식 중에 성장 중이었구나 하는 생각은 있지만 말이다.
인생 이야기
드라마나 영화나 아니면 애니메이션을 보다보면, 어디까지나 관찰자 입장(시청자)에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작품내의 캐릭터들의 행동거지 하나하나가 어떠한 의도가 되었고 어떠한 행동으로 이어졌는지 보이지만은...
아! 참, 최근들어서 마음에 드는 어구를 찾았다.
자 왈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
[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
어찌보면 당연한 이 어구의 말은, 지금의 나로하여금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해주었는데, 내가 누군가에게 호감을 느낀다라는 선입견에 사로잡혀 그 사람의 단점을 보지 못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있고 내가 어떻게 보였는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선함이라는 것은 항상 해석과 관점에 따라 달라지기때문에
내가 선하다고 생각하지말고,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음을 원망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원망해야함을
2017년 경에 공자의 논어를 읽은 적이 있다. 그때는 분명, 이런 감정이 들지 않았는데, 분명 같은 글을 읽는데 다시한번 이런 감정이 듣는 것을 보면 아직 나는 배울게 많나 보다.
아무튼 2017년의 일기가 아니라,
2024년 7월 14일의 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