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6일

 

유학을 가겠다고 마음을 먹은 지가 반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하루하루가 너무나 빨리 가는 것 같으면서도 또한 느리게 흐르는 이 감정은 마치 내가 꿈을 꾸고 있는 듯한 감정이 들게 한다. 내 주위 모든 것들이 어색했던 게, 이제는 어느 정도 익수함의 순간으로 나아가고 있으니 이 유학의 적응 기간이라는 3개월이 얼마나 고된 하루의 연속이었는지 알려주는 것 같다.

 

하루의 소중함을 깨달아, 아니 시간의 소중함을 늦게라도 깨달아 뭐라도 하려고 하면, 일단 하기 싫은 감정이 몰려오기도 하는데 그래도 뭐 이 악물고 해내고 할려고는 있다. 생각의 관념을 그 근간부터 바꿔나아가는데에는 필요한 고통과 스트레스이겠거니 하는 생각으로 말이다.

 

유학을 끝내고 호주에 남게 될지, 아니면 한국에 돌아가게 될지 아니 2학년이 되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한 치 앞도 모르는 상황인데, 어찌 저지 공부는 하고 있다. 그리고 배우는 것은 즐겁다.


새로운 인연을 만들어 나가는 것도 즐겁고. 

 

평소에 뭐해요?

지금 하고 있는 것은

1. 코드잇 

2. 코드 아카데미 

3. 듀오링고 독일어 - 일본어

4. 말해보라 영어

5. 쇠질.

6. 블로그

7. 개인 유니티 프로젝트 

(7번 같은 경우는 머릿속에 "그나마 익숙한" 유니티의 사용 방법을 좀 익혀둠으로써 아키텍처의 이해를 높이기 위함)

 

많아 보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사실이고, 실제로도 많은 양이긴 한데, 이것들을 굳이 구태여 동시에 하고 있는 것은 스트레스받는 하루의 시간을 빨리 보내고 싶음이라... 그저 한국에 있는 내 친구들이 그리울 뿐이다. 특히 , 가끔가다 지나가는 헬리콥터 소리와 추운 날씨, 한강의 모습, 골목 골목길의 정, 이 지극히 당연한 것들이 이제와서는 그렇게 특별해질 수가 없지 않은가. 

 

장소는 그립지 않고 사람이 그리운 것은 어쩔 수 없나 보다

 

향수병이 왜 걸리는 것인지, 충분히 이해를 하고 있는 하루를 보내고 있다. 한국에서 떠나기 전에 가족과 시간을 보내지 않았었는데, 애초에 그렇게 나와의 시간을 소중히 여기기 못하는 것도 있었고 그리고 그렇게까지 중요시 여겨지지 않는다는 감정은 매번 있었기 때문에 별 수 있나 싶기도 하다. 물론 표현을 못하시는 거지 분명 어딘가 사랑하는 구석이 있어 그러신 거겠지. 

 

코딩하는 몇 친구들이 얼마나 대단한지 매번 깨닫기도 하고, 이 유학생활을 이겨내고 현지에서 취업을 하신 분들이 정말 독하고 독한 사람이구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진짜, 그만큼 유학 생활이 드라마처럼 파티에 가고 꿈만 같고 그러지는 않다. 무엇보다 생각이 기준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점은 스트레스를 넘어 고통이긴 한데, 이 고통의 끝에서는 적응해 있는 나를 발견하는 경험을 한번 했었으니까 그 과도기라고 생각한다. 

'

최근 들어 제일 많이 하는 생각이 뭐예요?

서양애들의 대다수는 근간이 "자기들이 국제학생들보다 영어를 잘할 것이다."라는 착각을 하고 있다. 아니,  "난 동양인 보다 나을 것이다 "라는 생각이 뿌리 잡혀있는 애들이 있다. 이들이 인종차별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머릿속에 정의된 공역 자체가 잘 못 되어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있다. 물론 이들은 학사를 공부하는 이들이기에 생각이 너무 어려 그런 생각을 한다고 난 생각하지만 말이다.

 

어린아이들의 생각을 굳이 구태여 바꿔줄 의향은 없고,
실력으로 쳐 바르는 의지만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세상이 넓다는 것을 몸소 느끼게 해 주마

 

 

코딩은 어때요, 좋아요? 
장점 : 내 생각의 논리적 과정과 순서를 "의식"하게 해 준다. 그러니까 본래 " 커피를 마신다"라는 머릿속의 생각을, 1. 컵을 가져온다.
2. 물을 넣는다
3. 전자레인지에 넣는다
4. 꺼낸다
5. 커피를 넣는다
6. 마신다 
라는 과정으로 세분화해서 생각하는 요령이 조금씩 생기고 있다

단점: 근데 몇 코드는 왜 작동되는지 모르겠음. 진짜, 작동되면 안 되어야 할 텐데 결과는 의도값이 나옴. 이게 좋은 게 아니라. 예를 들자면, "모기장을 만들어야지"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내가 모기장을 만들었지만,  그 모기장에 볼링공 구멍이 생겼지만 깨닫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 진짜 이건 누가 대신 봐줘야 함 

기분: 코드를 쓰는 것은 음악을 연주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이 든다. 악보를 쓰는 그 악기의 아름다움과 조화를 보듯이, 코드를 쓴다는 것은 그 조화와 아름다움을 보는 것 같다

 

지금까지 한 번쯤 만져본 코딩 언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Python

2. Java

 - 대학교 필수였기 때문 

 

그리고 찍먹(찍어보기) 

3. Java Script 

4. Type Script  - 트위터에 보이길래 호기심에 건들어봄. 

5. C# - Unity의 좋은 친구, Game Develop에 필요하다고 해서 찍먹 해봄

6. XML - Python으로 할 수 있다고 해서 건들어봄 

 

무슨 언어가 내 성향에 맞는 것인지 잘 모르기 때문에, 이거 저거 찔러보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SQL 언어를 배우고 있기도 한데, 언어를 배우다 보니 Linear Algebra 나 Algorithm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본래 언어를 좋아하는 성격이 있어서 컴퓨터 언어를 배운다는 건, 내가 모르는 세계의 외국어를 배우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배우고는 있는데, 이 해석이 어찌어찌 나하고 잘 맞아 빨리 배우고는 있지만 아직까지 나에게 있어 "외국어"인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는 사실 자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한다. 

 

(잠깐, 이 생각이면 수학도 따로 공부할 수 있지 않을까?)

 

 

대학원 가실래요?

죽기 전에 "박사"님 소리 듣고 싶기도 하고, 나중에 자식 낳으면 대학원 보내고 싶은 것은 있는데, 일단 내가 경험해보지 않은 것을 자식에게 강요할 수 없는 노릇이니 대학원에 한번 가보고 박사를 따고 세상을 보고 싶긴 하다. 

 

물론, 학위가 부자로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그게 되었다면, 전 세계가 박사님들로 넘쳐나서 박박 박사님 슈퍼 박사 울트라 짱 박사 이런 거 있지 않을까? 대학만 가면 성공하고 취업하고 다 될 것이라는 것은 예전이야기지, 내가 활용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과 사람을 얻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다들 좋은 대학 보내려고 그렇게 공부를 시키는 것이겠지 

1학년 2학기, 어떻게든 버텨보자.
앞으로 3년이다. 3년이면 된다.

 

 

오늘 짤방은 소녀소녀한 감성으로

 

 


 

UTS에 유학을 온 지가 벌써 5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났었고,

매일 같이 포스팅을 하겠다는 다짐은,

지나간 다짐으로 남아는 있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까지는 호주의 이야기를 할려고 한다.

나의 여정이 이들에게 좋은 이정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내가 다니고 있는 학교는 UTS - University of Technology , Sydney 로써 한국어로 하면 

시드니 공과 대학교를 다니고 있다. 시드니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곳곳에 건물을 가지고 있는 대학이다.

대학교에 오게되면, 무엇보다 의식주가 걱정일 텐데, 옷이야 워낙 한국사람들이 잘 입고 다니니까 고민해야 할 대상이 아니지만. 역시 학식을 먹는 것은 고민이 될 것이다. 그런고로 오늘의 포스팅은, 내가 갔던 식당의 이야기 


와! 생일이다 (3월 4일)

 

누군가는 인생에서 100년을 산다면 100번 밖에 찾아오지 않는 순간들이라고 말을 하며 그 날의 가치를 축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을 하겠지만은, 이미 해외에 몸을 담근 이상 지금 생일이다 기념일이다 뭐 챙기기 우선은 생존이 우선시되는 상황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한국 사람들은 한국에 있어야 한다고 믿는 편인데, 이는 알게 모르게 사람을 대하는 태도나 예의 그리고 생각하는 과정 자체가 전부 "한국식"인 사람들이 해외에 생활하는 것 자체가 엄청난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굉장히 당연스러운, 실용적인 믿음과, 삼신할머니가 해외땅에 나가면 챙겨주지 못한다는 나만의 종교적인 믿음 때문이랬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도교를 믿는 것은 아니지만,

대한의 사람은 대한의 땅에서 있어야 한다는 것은

그 신념은 이 생각에 기원을 두고 있다. 

 

생일 선물을 다른 사람에게서 기대하는 것 또한 무례한 행위

 

나 스스로가 생일이 되었다고 해서 선물이 당연하다고 원하는 것은 어린 마음이나 어른이 된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을 것인데, 그래도 어른스러움을 강요받는 우리에게 있어 그렇게 기대하지 않는 것은 중요할 것이다. 자시 스스로만 생각하는 무례한 사람이 되지는 않기 위해 하는 마지노선의 생각이니까, 주변인들이 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그럼 식당 소개 시작해 보자


 

UTS라는 대학에 다다른 한국분들이라면 분명, 그 건물이 보여주는 위상과 지리적 입지에 반해서 오시게 된 분들이 대다수일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건물이 주는 아름다움은 정말 중요하니까. 대학교는 캠퍼스가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 넓게 배치되어 있어서, 한국적인 캠퍼스 생활과 대학의 삶의 낭만은 없겠지만은. 그래도 마음의 심심한 위로가 되는 게, 이러한 구도를 지니고 있는 대학은 단언하건대 UTS 혼자만이 아니다.  미국에는 뉴욕대학교도 있고, 일본에는 토요 대학도 있고, 그 외 세계에서 몇몇 보이는 학교의 형태니까.

 

ㄴBuilding 5의 첨탑

필자는 IT를 UTS에서 공부 중이고,  Building 5는 비즈니스와 디자인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인연이 더 있어 "나"와 고는 그렇게 상관없는 공간이지만, 그래도 Student Centre (학생지원센터) 혹은 괜찮은 공부 구역 Bldg 5 Section D 지하에 숨어서 나만의 개발을 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곧 잘 자주 방문 하는 편이다. 

 

이 건물에는 종 탑이 하나 존재하는데, 이 종탑 역시도 이전에 Faculty of law, 즉 법학대학이었을 시절에 랜드마크였다고 한다.  그렇게 높아 보이지는 않은 이 종탑의 이야기는 나중에 포스팅하도록 하고,  이 종탑을 굳이 구태여 언급한 이유는 그 건너편에 있는 햄버거집으로 가는 표식으로 하기에 걸맞기 때문이랬다.

 

 

형, 거기 제가 자주 가는 햄버거집 같이 가요

 

 

하고 들어온 이곳, 옆으로는 호주사람들의 식료품점 중하나인 Metro 가 들어서 있고, 그 옆으로 보이는 가게, Ultimo Rd를 따라 가다보이면 정말 고든램지 저리 가라 할 정도의 수제 버거 집이 나온다. 호주 자체가 고기의 질이 좋고 가격도 싼 것은 알고 있었지만, 워낙에 요리를 잘하시는 사장님 (몰랐는데 한국분이었음)의 솜씨로 구운 고기사이로 떨어지는 육즙의 열기로 살짝 녹은 치즈가 햄버거의 형태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으로 보면 그게 바로 눈으로 먹는 쾌락이 아닐 수가 없다

 

 

 

 

햄버거 주세요 뿌우
칠리소스

 

이렇게 해서 가장 중요한 가격은 얼마인가 하면, 대략 30 AUD , 한화 24,000원이 되는데, 그 가격이 높아 보이다 하더라도 해외에서 먹는 버거의 맛과 퀄리티를 생각하면 나쁘지 않다. 게다가 이 기름진 고기의 맛은 정말 싫다고 말을 못 하겠다.

 

 

Home - Roadhouse Restaurant Burgers & Ribs

Discover Sydney's best burgers at Road House Burger and Ribs, nestled in Chinatown's heart. Indulge in our flavorful menu, order online, or reserve your spot today. Enjoy indoor seating for 65 and outdoor options for 15. Join us for an unforgettable dining

roadhouseburgersandribs.com.au

 

덤으로 점심시간에 방문을 하면 버거가 무려 20달러, 한국돈으로 생각하면 높아 보이겠지만, 그 입지가 대학교 근처이기 때문에 일단 합격점을 줄 수밖에 없었다.

 

흑흑 넘 마쉿서 

 

물론 어디까지나 배고픈 중생, 배고픈 학생들의 시야에서야 입안에 들어가는 고기면 감사히 먹는 것일 가능성이라도 있겠다마는, 그건 그거대로 아니 이거면 이거대로 내가 인지한 것이 곧 진실이 아닐까 하는 마음으로, 이 인지주의적 관념으로 해석된 버거의 맛은 그저 미미

정말 고기가 그리웠다

 

아무튼, 인생에 100번 밖에 오지 않는다는 "나"님의 생일을 축하해 줄 만한 고기의 맛을 지닌 시드니의 식당 되었다. 

 

이 식당의 기업가치로 오늘의 포스팅 마무리

 


At Our Restaurant, We Don’t Just Serve Food, We Create Memories. Our Cozy Atmosphere And Friendly Staff Make Every Visit A Pleasant And Enjoyable One.
우리 식당에서는, 음식 만을 대접하는 것이 아니라, 추억을 만듭니다.
식당 속 따뜻한 분위기와 친근한 직원들이 매 방문을 즐겁고 행복하게 만들어 줄 거예요 

 

 

1984년부터 장사를 하셨다고 하는데, 감사할 나름이다. 내가 이 식당을 찾은게 아니라,

햄버거가 나를 찾아온 반가운 맛을 느낄 수 있는 곳. 작성하다보니 배가고파졌다.

다시 한번 또 가야지! 

이번에 한국에서 다시 시드니로 돌아오면서 시드니 공항을

두 번째 겪게 되었는데요,

덕분에 첫 방문 당시에 모르고 놓쳤던 사실을 알게 되어

그 꿀팁을 공유하고자 함


 

 

 

 

 

Smart Gate 의 Ticket 발급은 나가는 곳에도 있다

스마트 게이트

 

우선 시드니 공항에 도착하고 나면 , 여권을 스캔해 티켓을 발급받아야 하는 구간이 나온다. 처음에 나오는 곳이 유일하다고 생각해 사람들이 곧 잘 그곳에 줄을 서기도 하며 안내를 해주시는 분들이 워낙 친절하지 않고 정말 "안내"라고 하기도 무안한 소리를 엄청 지르시기 때문에 당황해 그곳에 줄을 서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당황하지 않고, 티켓 발급을 출구쪽에서 하게 된다면 빠르게 줄을 서지 않고 나갈 수 있다.

1층 Immigration 쪽에 티켓 발매가 있다

 

여기를 지나기 전에 하나 있다는 점!

 

자랑스러운 태극기

워홀/유학을 준비하는 당신,

시드니 공항에서 졸지 말고 효율적으로 움직이자

당신은 이미 해외에서 일을 하기로 마음먹은 점에서 도전정신이 넘치는 사람이니까

 

열차역까지 짐 옮기는 Trolly를 가져가도 된다

 

시드니 공항에서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시드니 도심으로 가는 열차로 이동할 수 있는데 

열차역에 들어가기 전에 반납하는 장소가 하나 있었다.

그러니 굳이 무겁게 들고 가지 말고 언제 반납해야 하나 걱정하지 말았으면 한다.

난 그것도 몰라 1층에서 반납하고 짐을 다 들고 탔으니 말이다

 

짐은 안쪽까지 들고 가라

 

열차에서, 짐이 많아 사람들에게 방해될까 봐 입구에 서 있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매너가 아니기도 하고 걱정하지 말고 안쪽에 들어가서 의자를 옮기면 짐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곳이 나온다. 너무 걱정하지 말고 사람들은 그 정도야 이해해 주니까. 오히려 입구를 막는 게 더 당혹스럽다. 

 

OPAL카드는 편의점에서도 팔아요

 

시드니의 교통편을 이용하면서 OPAL 카드에 들어있는 모든 돈을 다 쓴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편의점에 가라, 

Can I get an OPAL card라고 하면, 하나 던져주시니 잘 캐치하시길! 

낮에 오는 것이면, 선글라스 필수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먹은 마파두부  (1) 2024.07.11
청와대를 찾다 /2024년 1월의 기록 1편  (0) 2024.02.26
참을수 없는 일기  (0) 2024.02.09
서울 관광 2편 feat 야인시대  (0) 2024.02.02
청와대 관광 완료  (0) 2024.01.31

3개월 밖에 되지 않았지만요

2024년 1월 4일

3개월동안의 유학을 마치고, 치과치료 겸 저번에 못다한 한국에서의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한국땅을 밟았어요. 항공사는 티웨이 항공사를 이용했답니다. (광고 아닙니다) 티웨이를 되게 좋아하는게 어느정도 나쁘지 않은 가격으로 해외에 나갈수있고, 그리고 서비스도 나쁘진 않고. 그냥 해외에 나갈것만 생각한다면 괜찮거든요. 물론 짐이 많아 피곤하거나 공항 라운지를 즐기고 싶으면 다른 서비스가 포함되어있는 항공사를 추천하는 바 입니다만, 그냥 간단히 해외 나가거나 볼것만 보고 오는 편이면 티웨이 항공 정말 추천함

 

요약 

항목 내용
항공사 티웨이 항공
선택이유 합리적인 가격
  서비스 나쁘지 않음
  간편한 해외여행
고려 사항 럭셔리 까지는 아님(애초에 저가 항공인데 이정도면 나쁘지 않다 느낌)
종합  
해외 간편 여행 및 가격 대비 만족도 높음

 

 

 

+ Recent posts